연복사탑중창비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나길 7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km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공덕으로 재건된 연복사 오층불탑의 건립내력을 담은 비석이다.
바로가기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5km
1907년 통감부의 철도국 서울진료소로 개원되어 운영되다 1913년 용산철도병원이라 불리던 본관 건물로 1928년에 철근콘크리트조 벽돌마감의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신축되었다.
바로가기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5km
1907년 통감부의 철도국 서울진료소로 개원되어 운영되다 1913년 용산철도병원이라 불리던 본관 건물로 1928년에 철근콘크리트조 벽돌마감의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신축되었다.
바로가기
옛 간조 경성지점 사옥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2길 13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5km
간조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건설토목회사로 1903년 경부철도 공사를 위해 한반도로 진출하여 도로와 철도, 군사시설 등 일제의 한국 식민지배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재는 식품소재회사 사무실로 사용중이다.
바로가기
옛 간조 경성지점 사옥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2길 13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5km
간조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건설토목회사로 1903년 경부철도 공사를 위해 한반도로 진출하여 도로와 철도, 군사시설 등 일제의 한국 식민지배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재는 식품소재회사 사무실로 사용중이다.
바로가기
왜고개 순교성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 46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6km
왜고개는 조선시대 와서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왜고개는 조선 말엽 네 번에 걸친 천주교 박해(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때 처형당한 천주교 성직자와 신자들이 묻히게 되면서 천주교 순교성지로 알려지게 된다.
바로가기
왜고개 순교성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 46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6km
왜고개는 조선시대 와서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왜고개는 조선 말엽 네 번에 걸친 천주교 박해(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때 처형당한 천주교 성직자와 신자들이 묻히게 되면서 천주교 순교성지로 알려지게 된다.
바로가기
당고개 순교성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139-26
'연복사탑중창비'에서 0.7km
이 일대는 조선후기에 처형장으로도 이용되었는데, 1839년 기해박해 당시 천주교 신자 10여명이 순교한 곳이다. 지금은 기해박해 당시 천주교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해 당고개 순교성지가 들어서 있다.
바로가기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