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지도 이미지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4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관광지명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관광지구분
관광지
소재지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
소재지지번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65-154
면적
10,184
공공편익시설정보
화장실
수유실
관광안내소
휴양및문화시설정보
옥상정원
접객시설정보
카페
지정일자
2022-01-01
수용인원 수
680
주차가능 수
0
관광지소개
1907년 통감부의 철도국 서울진료소로 개원되어 운영되다 1913년 용산철도병원이라 불리던 본관 건물로 1928년에 철근콘크리트조 벽돌마감의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신축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2-2199-4620
관리기관명
용산역사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4-07-25
제공기관코드
3,020,000
제공기관기관명
서울특별시 용산구

주변 목록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km

1907년 통감부의 철도국 서울진료소로 개원되어 운영되다 1913년 용산철도병원이라 불리던 본관 건물로 1928년에 철근콘크리트조 벽돌마감의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로 신축되었다.

바로가기

연복사탑중창비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나길 7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5km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공덕으로 재건된 연복사 오층불탑의 건립내력을 담은 비석이다.

바로가기

연복사탑중창비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나길 7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5km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공덕으로 재건된 연복사 오층불탑의 건립내력을 담은 비석이다.

바로가기

옛 간조 경성지점 사옥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2길 13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7km

간조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건설토목회사로 1903년 경부철도 공사를 위해 한반도로 진출하여 도로와 철도, 군사시설 등 일제의 한국 식민지배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재는 식품소재회사 사무실로 사용중이다.

바로가기

옛 간조 경성지점 사옥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2길 13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7km

간조는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건설토목회사로 1903년 경부철도 공사를 위해 한반도로 진출하여 도로와 철도, 군사시설 등 일제의 한국 식민지배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재는 식품소재회사 사무실로 사용중이다.

바로가기

왜고개 순교성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 46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7km

왜고개는 조선시대 와서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왜고개는 조선 말엽 네 번에 걸친 천주교 박해(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때 처형당한 천주교 성직자와 신자들이 묻히게 되면서 천주교 순교성지로 알려지게 된다.

바로가기

왜고개 순교성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40길 46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7km

왜고개는 조선시대 와서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왜고개는 조선 말엽 네 번에 걸친 천주교 박해(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때 처형당한 천주교 성직자와 신자들이 묻히게 되면서 천주교 순교성지로 알려지게 된다.

바로가기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성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80-8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현 용산역사박물관)'에서 0.8km

1950년 한국 천주교구는 지금의 장소를 순교성지로 지정하였다. 1981년에는 천주교 새남터 교회가 창설되고, 1987년에는 새남터 성당 건물과 기념관이 완공되어 대표적 천주교 순교지로 매김하였다.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